• (주)모네다대부 2018-서울노원-00025(대부업)
    | (주)모네다대부중개 2018-서울노원-00026(대부중개업)

공지/뉴스

카드배송 사칭 보이스피싱 증가, 소비자경보 상향!! (주의 → 경고).
조회수 : 743

카드배송 사칭 보이스피싱 증가, 소비자경보 상향!!(주의→경고)

-신청한 적 없는 카드배송으로 고령층에 접근하여, 사고접수 도움을 주는 척 원격제어앱 설치

-검찰, 금감원 사칭 직원이 자산보호 등 명목으로 자금이체를 유도...이체 요구시 무조건 사기입니다.

 

□ 금융감독원은 ‘24년 하반기 관계부처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보이스피싱이 증가*함에 따라 보이스피싱 피해사례의 주요특징 및 수법을 분석하였습니다.

  * [보이스피싱 피해액 추이] 249억원(9월)→453억원(10월)→614억원(11월)→610억원(12월)

 

□ 분석 결과, 수법이 더욱 교묘해진 가짜 카드배송으로 시작된 기관사칭형 수법에 속은 고령층의 고액피해 사례 증가가 주요원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ㅇ ’24.12월중 소비자경보 발령(주의)*에도 불구하고 해당 범죄가 지속 발생함에 따라 소비자경보 등급을 주의에서 경고로 상향하고, 금융소비자들의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였습니다.

 

Ⅱ 최근 보이스피싱 주요 특징 및 수법

①  (고령층 여성을 타겟) 고액 피해자의 2명중 1명은 60대 여성

②  (카드배송 사칭) 카드배송원으로 위장하여 가짜 콜센터로 전화를 유도

③ (피해자 휴대폰 통제) 공식 등록 원격제어앱 설치를 유도해 피해자의 휴대폰 장악

④  (심리지배) 검찰·금감원을 사칭한 정교한 시나리오로 피해자를 완전히 ‘가스라이팅’

⑤ (피해자 직접이체) 피해자를 조종하여 직접 자금이체를 유도
최근 금융앱 보안강화 등에 따라 악성앱, 대포폰 등을 통해 사기범이 이체하는 방식이 어려워지자, 사기범들은 자산보호, 약식기소 공탁금등의 명목으로 피해자를 속여 피해자 스스로 사기범에게 자금을 이체
하도록 수법을 변경하였습니다.

 

Ⅲ 소비자 주의사항 및 대응 요령

① 본인이 신청하지 않은 카드배송 연락을 받은 경우 카드사에 직접 확인하세요.
본인이 카드를 신청하지 않은 경우 배송직원이 알려준 번호가 아닌 카드사 홈페이지·앱·콜센터 전화번호를 통해 경위를 확인하세요.

 

② 카드사 등 금융회사와 공공기관은 앱 설치를 요구하지 않습니다.
- URL 링크를 통한 출처가 불분명한 앱뿐만 아니라 공식 앱스토어의 앱 다운로드를 요구하더라도 거절하세요. 카드사 등 금융회사와 금감원 등 공공기관은 앱설치를 요구하지 않습니다.
- 공식 앱스토어에 등록된 원격제어앱*이라도 ID·주소·인증번호 등을 타인에게 알려주는 것은 상대방에게 내 휴대폰을 맡기는 것과 같습니다.

 

③ 금감원, 검찰 등 국가기관은 절대 직접 자금이체를 요구하지 않습니다.
금감원, 검찰 등 국가기관이 자산검수, 안전계좌 송금, 약식기소 공탁금 등의 이유로 자금이체를 요구할 경우 100% 사기이므로 거절하고 경찰에 신고하세요.

 

④ 통신사의 AI 보이스피싱 탐지 서비스를 적극 활용하세요.
최근 보이스피싱 수법은 주소, 계좌번호 등 개인정보가 이미 노출된 피해자에게 전화를 걸어 실제 금융회사 상담센터와 유사한 내용 및 방식으로 접근하는 등 교묘한 방식으로 진화하여 피해자 스스로 알아차리기가 어렵습니다.

 

⑤ 사기범에게 속아 금전을 이체한 경우에는 최대한 신속히 경찰(112) 또는 금융회사 콜센터로 연락하여 지급정지를 요청하십시오.

 

이전글 고수익으로 현혹하며 신분증・위임장 등을 요구한다면 대출사기 가능성을 의심하세요!!! 3006
다음글 2024년 상반기 대부업 실태조사 결과 1,716

신용점수 영향없는 상담신청

고객님의 정보는 절대 유출되지 않으며, 한도조회 및 단순상담은 신용상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 - -

전국 어디든 1:1 다이렉트 전화상담

1661-5851
(상담시간 : 평일 09:00~1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