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배송 사칭 보이스피싱 증가, 소비자경보 상향!! (주의 → 경고). |
---|
조회수 : 743 |
카드배송 사칭 보이스피싱 증가, 소비자경보 상향!!(주의→경고) -신청한 적 없는 카드배송으로 고령층에 접근하여, 사고접수 도움을 주는 척 원격제어앱 설치 -검찰, 금감원 사칭 직원이 자산보호 등 명목으로 자금이체를 유도...이체 요구시 무조건 사기입니다.
□ 금융감독원은 ‘24년 하반기 관계부처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보이스피싱이 증가*함에 따라 보이스피싱 피해사례의 주요특징 및 수법을 분석하였습니다. * [보이스피싱 피해액 추이] 249억원(9월)→453억원(10월)→614억원(11월)→610억원(12월)
□ 분석 결과, 수법이 더욱 교묘해진 가짜 카드배송으로 시작된 기관사칭형 수법에 속은 고령층의 고액피해 사례 증가가 주요원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ㅇ ’24.12월중 소비자경보 발령(주의)*에도 불구하고 해당 범죄가 지속 발생함에 따라 소비자경보 등급을 주의에서 경고로 상향하고, 금융소비자들의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였습니다.
Ⅱ 최근 보이스피싱 주요 특징 및 수법 ① (고령층 여성을 타겟) 고액 피해자의 2명중 1명은 60대 여성 ② (카드배송 사칭) 카드배송원으로 위장하여 가짜 콜센터로 전화를 유도 ③ (피해자 휴대폰 통제) 공식 등록 원격제어앱 설치를 유도해 피해자의 휴대폰 장악 ④ (심리지배) 검찰·금감원을 사칭한 정교한 시나리오로 피해자를 완전히 ‘가스라이팅’ ⑤ (피해자 직접이체) 피해자를 조종하여 직접 자금이체를 유도
Ⅲ 소비자 주의사항 및 대응 요령 ① 본인이 신청하지 않은 카드배송 연락을 받은 경우 카드사에 직접 확인하세요.
② 카드사 등 금융회사와 공공기관은 앱 설치를 요구하지 않습니다.
③ 금감원, 검찰 등 국가기관은 절대 직접 자금이체를 요구하지 않습니다.
④ 통신사의 AI 보이스피싱 탐지 서비스를 적극 활용하세요.
⑤ 사기범에게 속아 금전을 이체한 경우에는 최대한 신속히 경찰(112) 또는 금융회사 콜센터로 연락하여 지급정지를 요청하십시오.
|
이전글 | 고수익으로 현혹하며 신분증・위임장 등을 요구한다면 대출사기 가능성을 의심하세요!!! | 3006 |
다음글 | 2024년 상반기 대부업 실태조사 결과 | 1,716 |
고객중심의 All in One 금융서비스